CHAT GPT에게 제시한 조건에 알맞는 HTML 코드를 짜달라고 부탁했다.

그런데 점점 요구하는 사항이 많아지고, 단계가 누적되면 이렇게 일처리를 못하는 현상이 발생한다. 이 문제는 차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.

결국 보다 못해서 관련 코드를 직접 수정해야만 했다. 여기에 올리진 않았지만, 프로그래밍을 벗어나면 오류는 더 심해진다. 조선시대에 월정이란 호를 가진 사람(윤근수)에 대해 물었더니, 한세대 아래의 윤선도라는 사람에 대해 소개를 한 것이다. 혹시나 해서 예전에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'대동여지도 연금술사'에 대해 물었더니(CHAT GPT가 지어낸 역사),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며 반박했다.

CHAT GPT4.0의 최대 장점은 정확성도 있지마는, 역시 파일 업로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. 이 기능 하나만 추가되었을 뿐인데, CHAT GPT의 활용 범위 굉장히 넓어졌다.

벌써 챗 지피티를 교육 현장에 활용한 이들도 나왔다. 앞서 본 문제점들을 생각하면 좀 우려스럽다. 아직은 시기상조 아닐까?
https://www.veritas-a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478383
대전대 LINC3.0사업단 Chat GPT를 활용한 메이커 창업캠프 개최
[베리타스알파=박원석 기자] 대전대 LINC3.0사업단은 Chat GPT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창업 시제품 제작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27일부터 1박2일간 충남 부여군 롯데리조트부여에서 '2023 메이커 창업캠
www.veritas-a.com
https://chatgpt.skku.edu/chatgpt/chatGPT_ex_student.do
성균관대학교 챗GPT | 챗GPT란 ? | 챗GPT 활용 사례 | 학생활용사례
성균관대학교 챗GPT | 챗GPT란 ? | 챗GPT 활용 사례 | 학생활용사례
chatgpt.skku.edu
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는가, 찬성하는가를 챗 지피티 4.0에게 물었다.
잠시 뒤 다음과 같은 답변이 돌아왔다.
CHAT GPT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문제점과 관련된 고민들이 있습니다:
1. **정보의 정확성**: CHAT GPT와 같은 인공지능은 학습 데이터에 기반하여 답변을 생성합니다. 때로는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학생들이 틀린 정보를 배울 가능성이 있습니다.
2. **윤리 및 프라이버시**: 학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은 학생들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합니다.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3. **콘텐츠 필터링**: 적절하지 않은 내용이나 부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도록 필터링 기능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4. **의존도**: 학생들이 과도하게 인공지능에 의존하는 경우,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
5. **접근성과 평등**: 모든 학생이 동일한 기술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, 일부 학생만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.
6. **교사의 역할**: 기술이 교사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합니다.
개인적인 의견을 물으신다면, 저는 적절하게 관리되고 사용된다면 인공지능 기술이 교육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기술은 학습을 개인화하고, 다양한 교육 자료에 더 쉽게 접근하게 하며, 교사의 부담을 줄이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동시에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이 신중하게 고려되고 관리되어야 합니다.